logo


지역사회 징검다리 ‘장애학생 현장실습’ 열악 > 복지뉴스

지역사회 징검다리 ‘장애학생 현장실습’ 열악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201회 작성일 23-01-10 08:22

본문

장애학생 현장실습은 직업기술뿐 아니라 일상생활, 사회적 기술 등을 향상해 사회 전환을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나, 현장실습처 확보의 어려움과 지역사회 기관들의 낮은 인식 등으로 인해 실제적 실천이 어렵다는 지적이다.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연구에는 최근 ‘장애학생 현장실습 운영에 대한 중등특수교사의 인식 및 운영 현황’(연구책임자 중부대학교 나경은 부교수)이 게재됐다.

현장실습 ‘직업교육·일상생활·사회적 기술’ 사회와의 징검다리 역할

현장실습 중심의 직업교육은 다양한 직업현장을 직접 체험하면서 개별 학생의 적성이나 흥미, 기능의 활용 가능성 등을 살펴보고, 습득한 기술과 더 길러주어야 하는 직업기술을 실제 환경에서 배우고 익힐 수 있도록 중재 역할을 한다.

학생들은 현장실습을 통해 습득한 지식이나 기술을 적용한 실무역량을 향상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사회적 기술, 인지능력 향상, 직업의식 향상이라는 효과를 가져온다.

이러한 효과로 인해 현장실습은 비단 경도장애학생뿐 아니라 중증장애를 가진 학생이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살아가기 위해 이들의 다양하고 개별적인 개인 특성과 지역사회 환경을 고려한 지속적인 현장실습 및 진로·직업교육이 필요하다.

하지만 현장 실습처 확보의 어려움, 지역사회 기관들의 낮은 인식, 구체적인 현장중심 프로그램의 부재 등으로 인해 현장실습을 강조하는 직업교육이 실제적으로 실천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중증장애인 대상 스팀세차 맞춤훈련 모습(기사 내용과 무관).ⓒ에이블뉴스DB

중증장애인 대상 스팀세차 맞춤훈련 모습(기사 내용과 무관).ⓒ에이블뉴스DB
‘현장실습처 업무협조’ 특수교사 만족도 가장 낮아

이번 연구는 고등학교 소속 교사 116명, 특수학교 소속 교사 87명, 교육청 소속 교사 33명 총 236명의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이뤄졌다.

조사결과 현재 현장실습이 효과적이라는 인식은 고등학교(급)과 비교해 전공과에서 통계적으로 효과적이라는 응답을 나타냈다.

이는 전공과가 장애학생에게 교육기한을 연장해 기초직업 교육과 진로·직업 교육, 다양한 직업 인식과 탐색, 고용과 연계를 위해 현장실습에 대한 중요성 인식 정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고등학교 특수학급에서 현장실습을 운영하는 것은 특수학교 차원의 운영보다 힘겨운 상황임을 알 수 있다.

특수학교 차원에서의 운영보다 특수학급을 담당하는 특수교사는 현장실습의 계획수립부터 시행, 평가까지의 과정을 소수의 인원이 알아서 진행해야 하기에 개별 교사의 역할이 과중하고, 일반교사의 현장실습에 대한 낮은 이해도로 인한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현장실습처와 업무협조의 수월함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였는데, 이는 설문 문항 중 가장 낮은 점수다. 지역사회 유관기관과의 협력은 늘 장애학생의 현장실습을 비롯한 직업 교육에서 강조되고 있지만, 여전히 제한점이 많은 것이다.

‘교육부 현장실습 기준 제시·현장실습처 보상체계 현실화’ 등 제언

보고서는 향후 장애학생 현장실습 운영에 대한 효과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으로 “고등학교 이상 학생들의 사회 전환을 위해 현장실습에 대한 교육목표를 공유할 방안이 구체화돼야 한다”고 제시했다.

이어 “구체적으로 교육부 고시 교육과정 총론에서 기준을 제시해 현장실습 효용성을 제고하고 학교에서 사회로의 안전한 전환을 위해 현장실습 관련법을 정비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아울러 “특히 현장실습처와의 원만한 협력과 담당자의 적극적인 현장실습 운영의 주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현장실습처에 대한 제도적인 보상체계도 더욱 현실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현장실습처와의 원만한 연계나 정보 공유 등의 과정에서도 특수학급이 특수학교보다 어려움이 크기에 향후 현장실습 운영을 위한 방안으로 특수학급에 대한 지원을 추가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출처 : 에이블뉴스(http://www.ablenews.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사업자등록번호 : 621-82-65878

부산시 금정구 중앙대로 1675(부곡동) 우신빌딩 2층

TEL : 051-582-3334 FAX : 051-582-3234 E-MAIL : gj-il2011@hanmail.net

Copyright © 2022 Genmjeong center for independent living. All Rights Reserved.